금리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지만, 세계 경제는 여전히 비정상적인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어, 거시경제 충격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다.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 수석 경제 논설위원 마틴 울프의 3일자 칼럼.
"금리는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세상은 아직 아니다" <FT> (마틴 울프 칼럼)
장기적으로 초저금리 시대가 끝나고 금리가 역사적 평균 수준으로 복귀했지만, 세계 경제는 여전히 정치적 불안정, 과도한 부채, 재정 불균형, 정책적 혼선 등 여러 구조적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겉보기에는 정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새로운 충격에 매우 취약한 상태라는 점을 <파이낸셜타임스>(FT)의 수석 경제 논설위원 마틴 울프의 칼럼은 강조하고 있다.
🔥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실질 금리는 정상화 추세에 있다
- 영국과 미국의 인플레이션 연동 국채 수익률이 팬데믹 이후 빠르게 반등함
- 현재 수익률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하며, 초저금리 시대의 종식을 의미함
2️⃣ 시장 기대 인플레이션은 안정적이다
- 미 국채 기준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은 2.3%, 영국은 3.3% 수준
- 과거 평균과 유사한 수준으로, 시장은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억제력에 신뢰를 두고 있음
3️⃣ 정상 금리 아래, 세계는 비정상이다
- 미국 정치 불안정(특히 트럼프 재선 가능성), 과도한 재정 적자, 금융 규제 완화 등은 큰 리스크
- 실물경제의 성장 둔화, 고부채 구조, 낮은 주식 기대 수익률 등으로 거시경제 충격 가능성 상존
실질 금리의 3단 변화
1980년대 이후 영국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ILG)의 실질 수익률 변화는 세 가지 국면을 거쳤다.
- 1단계: 지속적인 하락 (1980s~2020)
- 4%에서 -3%까지 하락한 장기 금리 추세
- 2단계: 초저금리 고착화 (2009~2021)
-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마이너스 금리 지속
- 3단계: 정상화의 시작 (2022~)
- 빠르게 반등하여 현재 약 1.5% 수익률 기록
미국 TIPS의 경우 2% 근처로 회복되었고, 영국과 격차는 줄어들었다.
인플레이션 기대는 억제되고 있다
-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명목 수익률 – 실질 수익률)이 미국 2.3%, 영국 3.3% 수준
- 이는 최근 인플레이션 충격을 감안하면 시장의 안도감을 반영
시장 신뢰는 유지되고 있지만, 취약성도 병존
- 국채 시장은 디폴트나 초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음 → 시장 신뢰는 여전
- 그러나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의 비합리적 정책, 미국의 재정 불균형, 금융 규제 완화 등 위험 요인 다수 존재
자산 시장의 밸류에이션 문제
- 실질 금리가 오르면 주식의 기대 초과 수익률(ERP)은 줄어듦
- 현재 ERP는 2007년 금융위기 직전 수준으로 낮아져 있음 → 주식 매력이 떨어질 수 있음
🔍 정리하면
금리는 돌아왔지만 세계는 그렇지 않다. 실질 금리의 정상화는 거시경제 안정의 복귀로 보일 수 있지만, 정치·재정·금융 리스크는 오히려 증가했다. 지금은 안정보다 취약성의 시대이다. 자산 시장의 민감도, 정책 혼선, 구조적 부채 문제 등이 겹쳐, 또 한 번의 충격이 닥칠 가능성은 결코 낮지 않다.
#실질금리 #브레이크이븐인플레이션 #정치리스크 #금융위기 #자산시장 #ERP #국채시장 #금리정상화 #트럼프리스크 #재정적자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앞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추가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신중한 판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2025.05.31 - [분류 전체보기] - 새로운 월스트리트의 부상과 위험 <이코노미스트> 특집보고서(2025.5.31.)
새로운 월스트리트의 부상과 위험 <이코노미스트> 특집보고서(2025.5.31.)
미국 금융시스템이 전통적 은행에서 사모펀드와 헤지펀드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시스템적 위험이 부상하고 있다고 (The Economist)가 5월 31일자 인쇄본 최신호에서 보도했다. 미국 금융시스
keywordtimes.tistory.com
*RSS 피드 구독: 아래 주소를 붙여 RSS Reader에 입력, 구독해 보세요.
http://keywordtimes.tistory.com/rss
*이 글에 언급된 정보는 참고 사항일 뿐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KWN뉴스통신ⓒ
*경고: 포스팅 내용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 도용하는 등의 행위 금지. 반드시 출처를 밝혀 SNS나 URL 링크 등으로 공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