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 <This is Water> 해설

by KWT 뉴스통신 2024. 6. 8.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는 2005년 케년 칼리지 졸업식 연설에서 물고기와 물에 대한 은유를 사용하여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이 은유를 통해 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그것이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내용을 알기 쉽게 해설해 봅니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This is Water"와 우리의 일상 인식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David Foster Wallace)는 2005년 케년 칼리지(Kenyon College) 졸업식 연설에서,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그의 연설은 "This is Water"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이는 우리의 일상적인 환경과 삶의 인식을 재고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물고기와 물의 은유: 일상 속 무의식적 인식

월리스는 두 마리의 어린 물고기가 물속을 헤엄치고 있을 때, 나이 든 물고기가 "물이 어때?"라고 묻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어린 물고기들은 잠시 후 "물이 대체 뭐야?"라고 묻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월리스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것들이 너무 당연하게 느껴져서 그것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많음을 지적합니다.

 

자기 중심적 사고를 벗어나기

월리스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고, 하드와이어드된, 기본 설정"(“natural, hard-wired, default setting which is to be deeply and literally self-centred”)으로 자신 중심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본능적으로 자기 자신에게만 초점을 맞추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는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식적으로 우리의 사고를 재조정하고,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타인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This is Water"의 의미

"This is Water"라는 구절은 우리가 항상 우리를 둘러싼 것들을 인식하고,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각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자기 중심적으로만 사고하지 말고, 더 넓은 세계와 나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그 속에서의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라는 뜻입니다.

 

즉, 자기 중심적으로만 사고하는 경향을 극복하고, 더 넓은 세계와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 것입니다. 자신의 '두개골 크기의 왕국'(skull-sized kingdom)에 갇혀서 자기 자신만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대신, 더 큰 그림을 보고, 다른 사람들의 관점과 감정을 이해하며,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자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더 높은 수준의 의식과 자기 인식을 요구합니다. 월리스는 이를 통해 사람들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 더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goldfish
This Is Water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주요 저작

월리스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소설: "Infinite Jest" (1996), "The Broom of the System" (1987), "The Pale King" (2011, 사후 출판)
  • 단편 소설집: "Girl with Curious Hair" (1989), "Brief Interviews with Hideous Men" (1999), "Oblivion: Stories" (2004)
  • 에세이집: "A Supposedly Fun Thing I'll Never Do Again" (1997), "Consider the Lobster and Other Essays" (2005)
  • 논픽션: "Everything and More: A Compact History of Infinity" (2003), "This Is Water: Some Thoughts, Delivered on a Significant Occasion, about Living a Compassionate Life" (2009)
  • 편집 작품: "The Best American Essays 2007"
  • 사후 출판: "Both Flesh and Not: Essays" (2012), "String Theory: David Foster Wallace on Tennis" (2016)

월리스의 작품들은 그의 독창적인 문체와 깊은 철학적 통찰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인간 존재의 복잡성, 의식, 그리고 현대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줍니다.

 

결론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This is Water"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더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우리의 환경과 그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의 저작들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통찰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의 조언대로, 이따금씩 스스로에게 말해 봅시다. "이것은 물이다. 이것은 물이다."

 


 

< 더 고민해 볼 질문들 >

1.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다른 연설이나 에세이 중에서도 "This is Water"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있는지 알아보세요.

2. 월리스가 표현한 '두개골 크기의 왕국'을 넘어서 일상에서 더 넓은 시각을 가지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있을까요?

3. 월리스의 다른 주요 저작을 읽고, 그의 철학적 통찰이 어떻게 그의 전체 작품에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분석해보세요.

 

# #ThisIsWater #자기계발 #인식 #독서추천 #블로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