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부부 인형 인기의 의미... 중국 브랜드의 해외 및 내수 시장 장악 <이코노미스트>

by KWT 뉴스통신 2025. 7. 1.

라부부 인형 인기가 화제다. 하지만 그 넘어의 의미가 중요하다.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6월 23일자 기사중국 브랜드들이 자국 내 소비 둔화에도 불구하고 가성비, 애국 소비, 프리미엄 전략, 그리고 지방 시장 공략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서구 브랜드들을 위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라부부 인형 인기의 의미... 중국 브랜드의 해외 및 내수 시장 장악 <이코노미스트>

오랜 기간 서구 브랜드들이 지배했던 중국 시장에서 최근 자국 브랜드들이 약진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가격 경쟁력을 넘어, 중국 소비자들의 높아진 안목과 애국 소비 경향, 그리고 서구 브랜드들이 간과했던 중국 고유의 문화적 요소와 지방 시장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더 나아가 이들 중국 브랜드는 해외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확장하며 글로벌 소비 트렌드를 주도할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가성비와 애국 소비 트렌드: 중국의 경기 둔화로 소비자들이 가격에 더욱 민감해지면서, 저렴하면서도 품질 좋은 자국 브랜드들이 인기를 얻었다. 코티(Cotti), 루이싱(Luckin) 같은 커피 체인은 스타벅스보다 저렴하면서도 동등한 품질을 제공했으며, 라오푸 골드(Laopu Gold)와 쑹멍트(Songmont) 같은 고급 브랜드들은 서구 경쟁사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았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은 더 이상 외제라는 이유만으로 외국 제품을 선호하지 않으며, 자국 문화와 디자인이 반영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2️⃣ 프리미엄 및 문화 마케팅 성공: 차기(Chagee)와 같은 차(tea) 체인점은 저가 브랜드가 아닌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하여 스타벅스와 비슷한 가격대의 제품을 성공적으로 판매했다. 라오푸 골드는 중국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정교한 금 장신구로 매장당 매출이 외국 경쟁사보다 50% 이상 높았으며, 차기와 라오푸 모두 '중국다움'을 전면에 내세운 마케팅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이 자국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3️⃣ 정보 습득 능력 향상 및 품질 경쟁력: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중국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정보 습득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들은 외국 기업들이 단순히 외국 브랜드라는 이유로 폭리를 취했다고 느끼며, 동일한 유효 성분을 가진 자국 화장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는 경향이 생겼다. 마오거핑(Mao Geping)과 같은 자국 화장품 브랜드는 이러한 트렌드에 힘입어 고급 화장품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들과 경쟁하며 큰 성장을 이루었다.

 

4️⃣ 지방 시장 집중 공략: 많은 중국 브랜드들은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서 사업을 시작하고 확장했다. 차기는 윈난성의 쿤밍에서 첫 매장을 열었으며, 대부분의 매장이 부유한 해안 지역 밖에 위치했다. 믹스(Mixue)와 같은 음료 체인도 중국의 가난한 성 중 한 곳에서 시작했다. 호텔 체인인 H 월드(H World) 역시 향후 1년간 신규 호텔의 절반가량을 3, 4선 도시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는 중소도시의 소비가 대도시보다 더 활발하다는 점을 공략한 전략으로, 서구 브랜드들이 간과했던 중요한 시장이었다.

 

5️⃣ 해외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확장: 팝마트는 20개국 이상에 매장을 운영하며 미국에만 37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믹스는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차기는 2027년 말까지 중국 외 지역에 1,30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이러한 해외에서의 인지도는 다시 중국 내에서의 인기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

 

🔍 정리하면

중국 브랜드들은 침체된 경제 상황 속에서도 가격 경쟁력과 고품질, 애국심 마케팅, 그리고 지방 시장 공략이라는 다각적인 전략을 통해 내수 시장에서 서구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다. 라부부 인형의 성공 사례처럼 이들은 단순한 모방을 넘어 중국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제품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소비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이는 매출 증대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더 나아가 이들 브랜드는 아시아를 넘어 서구 시장까지 성공적으로 진출하며 글로벌 소비 트렌드의 새로운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 서구 브랜드가 중국 시장을 지배하던 시대는 끝나고, 이제는 중국 브랜드들이 전 세계 시장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중국브랜드 #소비트렌드 #애국소비 #가성비 #프리미엄브랜드 #라부부 #팝마트 #라오푸골드 #차기 #마오거핑 #지방시장 #해외확장 #글로벌경쟁력

 

 

2025.06.08 - [분류 전체보기] - K-POP의 글로벌 성장, 지정학적 '줄타기'에 달렸다

 

K-POP의 글로벌 성장, 지정학적 '줄타기'에 달렸다 <FT>

K-POP 산업의 글로벌 성장은 국내 시장의 한계를 넘어 해외 팬덤 확장에 달려 있으며, 특히 중국 시장 복귀를 위한 텐센트와의 파트너십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FT)가 8일(현지

keywordtimes.tistory.com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앞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추가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신중한 판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Pgg0hAh

[RSS 피드 구독] 다음 주소를 붙여 RSS Reader에 입력, 구독해 보세요: http://keywordtimes.tistory.com/rss

 

*이 글에 언급된 정보는 참고 사항일 뿐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KWN뉴스통신


*경고: 포스팅 내용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 도용하는 등의 행위 금지. 반드시 출처를 밝혀 SNS나 URL 링크 등으로 공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