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초등학생이 부모로부터 받는 일주일 용돈, 내지 한달 용돈은 평균 얼마 정도일까?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의 수치도 조사된 게 있을까? 초등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받은 용돈을 사용하는 용처는 어디일까? 그리고 부모가 초등학생에게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에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까지 정리했다.
미국, 영국 등 서양 선진국과 한중일 등 아시아 초등학생 용돈 비교
미국과 영국의 초등학생이 받는 용돈의 금액은 지역, 가정 소득, 학생의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평균적으로는 한 주에 미국 달러로 $5-10 정도로 알려져 있다. 우리 돈으로 대략 5,000~10,000원, 많게는 15,000원 정도라고 해도 무방할 수준이다.
아시아 국가들의 초등학생이 받는 용돈의 금액은 지역, 가정 소득, 학생의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평균적으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초등학생이 받는 용돈의 금액은 1주일 평균 미국 달러 기준 $5-10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정확한 수치는 조사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초등학생 용돈 받으면 어디에 쓸까?
전 세계 초등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받은 용돈을 사용하는 용도에 대한 순위는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 세계 초등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받은 용돈을 사용하는 용도는 아래와 같다:
- 음식비: 초등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용돈을 음식비로 사용한다.
- 교재비: 초등학생들은 용돈을 교재비에도 사용한다.
- 옷/악세사리: 초등학생들은 용돈을 옷과 악세사리를 사는데 활용한다.
- 취미 활동: 초등학생들은 용돈을 취미 활동에 쓰고 있다.
- 선물: 초등학생들은 용돈을 친구 생일 선물 등 다른 이를 위한 선물 구입에 쓰기도 한다.
위의 순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전 세계 국가마다 다릅니다.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으면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초등학생이 부모로부터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는 것은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있다.
장점:
- 자신의 돈을 관리하는 기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다.
- 돈의 의미를 이해하고, 경제 관념을 쌓을 수 있다.
-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옷이나 악세사리, 선물 등을 구매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 자신의 취미를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규모 있게 수입 및 지출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자금을 집행하면서 책임감을 기를 수 있다.
단점:
- 지나치게 소비하려는 경험을 할 수 있다.
-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벌칙을 받을 수 있다.
-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사는 것보다 필요한 것을 사는 경험을 하지 못할 수 있다.
- 일반적인 용돈의 금액은 적어서 기대하는 것과 다를 수 있다.
- 어려서부터 너무 돈 자체에만 함몰되어 물신주의, 배금주의에 빠질 수 있다.
용돈을 받는 것은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책임감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신의 돈을 관리하는 기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나치게 소비하려는 경험을 하거나,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벌칙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부모들은 용돈을 주면서 적절한 관리방법과 소비방법을 가르치며, 초등학생들이 책임감을 가지는 것을 지원해야 한다.
그럼에도 자녀에게 적절한 수준의 용돈을 정기적으로 주는 것은 어려서부터 금융 문해력(financial literacy)을 키우고, 경제 관념을 키워 스스로 책임 있게 경제 활동을 하며 건전한 경제적 주체로서 커 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전문가들이 적극 권장하고 있다.
KWN뉴스통신ⓒ
*경고: 포스팅 내용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 도용하는 등의 행위 금지. 반드시 출처를 밝혀 SNS나 URL 링크 등으로 공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