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관세, 승자와 패자 <FT>... 적절한 투자 전략은? '공격보다 생존'

by KWT 뉴스통신 2025. 4. 6.

트럼프 행정부의 새 관세 정책은 아시아 국가에 강한 타격을 주는 반면, 일부 EU 국가와 미국의 흑자국에도 ‘친선 피해’를 유발하며 국제 무역의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 FT)가 5일 보도.

 

트럼프 관세, 승자와 패자 <FT>... 적절한 투자 전략은? '공격보다 생존'

 

2025년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새 관세 정책은 국가별 무역수지 및 특정 상품군 중심으로 차등 적용되면서 예상치 못한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냈다. 특히 아시아 국가는 높은 세율을 적용받고 있으며, 미국과 무역 흑자를 기록한 국가들조차 10% 관세를 피하지 못해 ‘아군 오인사격(friendly fire)’ 논란이 발생했다. 또한, 일시적인 수출입 변동으로 인해 왜곡된 관세 적용 사례도 나오며, 무역 체계 전반의 예측 가능성을 크게 저해하고 있다.

 

 

 

In charts: winners and losers from Trump’s new tariffs

*영어 기사 원문

 

 

🔥 핵심 포인트 3가지

1️⃣ 아시아 국가 집중 타격: 캄보디아(49%), 베트남(46%), 태국(37%) 등 높은 관세 적용 및 주요 수출품 제외로 이중 피해

2️⃣ EU 국가별 불균형 효과: 일괄 20% 적용이 국가별 무역수지와 무관한 결과 초래… 아일랜드는 사실상 5% 미만, 슬로바키아는 자동차 관련 품목으로 실질 관세율 상승

3️⃣ 무역흑자국도 피해: 미국과 흑자 관계인 UAE, 호주, 영국 등도 10% 관세 대상… 데이터 기반의 관세가 해마다 변동 가능성 내포

 

 

아시아 경제가 특히 많은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국은 일본과 비슷한 약 2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

 

 

🔍 정리하면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체계는 겉보기에는 무역적자 해소를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우호국까지 피해를 입히는 불균형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은 고관세와 면제 제외로 직격탄을 맞았고, 유럽 내에서도 국가별 피해 수준이 엇갈리고 있다. 이처럼 단일 연도 기준의 관세 계산은 국가별 실질 무역 구조를 반영하지 못해 향후 외교·무역 갈등의 씨앗이 될 가능성이 크다.

 

 


 

 

📌 미국 주식 투자 전략 제안 (2025년 4월 기준)

🎯 관세 충격 속에서 방어력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FT>가 지적했듯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무역 질서가 불안정해지면서 미국 주식시장 전체가 높은 변동성과 경기 침체 우려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한 미국 주식 투자 전략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봤다.

 

 

🧭 1. 섹터별 전략: 경기 방어 섹터 중심 리밸런싱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 → 원자재 가격 하락 → 소비자 물가 상승이라는 복합 구조를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 민감 업종 회피, 방어 섹터로 이동이 필수적이다.

 

투자 비중 확대 추천 섹터

  • 헬스케어: AbbVie, Johnson & Johnson, Pfizer 등
  • 필수소비재: Dollar General, Mondelez, Kraft Heinz
  • 통신주: Verizon, AT&T (배당 수익률도 안정적)

 

🚫 비중 축소 또는 주의 섹터

  • 기술주: 특히 아시아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하드웨어 업체 (예: Micron, Microchip Tech)
  • 스포츠/의류 소비재: Nike, Lululemon, Deckers 등
  • 산업재/자본재: 자동차, 중장비 등 고관세 직격탄

 

💵 2. 개별 종목 전략

🟢 유망 종목 (관세 회피·경기방어형)

  • Dollar General (DG): 경기 침체 시 소비자 수요 방어, 리세션 대응형 소비 패턴 반영
  • Lamb Weston (LW): 관세 영향 제한적, 수요 증가로 실적 초과 달성
  • CoreWeave: AI·클라우드 관련 성장성 + 신규 상장 모멘텀

 

🔴 주의 종목 (관세 타격 직격 + 실적 부진)

  • RH: 아시아 수입 의존도 높고 부동산 경기 부진 겹침
  • Affirm Holdings: 소비 둔화 + 금리 상승 시 수요 위축 우려
  • 자동차·항공 관련 기업: 관세 + 유가 불안정성 이중 압박

 

📊 3. 거시경제 및 이벤트 모니터링 포인트

  • 4월 10일 CPI 발표: 인플레이션 고착 여부 → 연준의 금리 스탠스 변화 가능성 주시
  • 4월 11일 대형은행 실적 발표 (JPM, WFC, MS): 관세 여파에 대한 CEO들의 대응 발언에 주목
  • 트럼프 추가 발언 및 무역 협상 방향성: 단기 시장 방향성 결정 요소

 

🧩 4. ETF·간접 투자 전략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는 분산이 핵심이다. 다음과 같은 ETF로 방어력을 높일 수 있다.

 

전략ETF 예시설명

방어주 중심 XLP (필수소비재), XLV (헬스케어) 관세 영향 적고 경기 방어적
고배당 중심 VYM, SCHD 고배당 우량주 중심으로 안정성 추구
변동성 회피 USMV (저변동성 ETF) 리스크 관리 목적

 

 

🧠 결론: “공격보다 생존이 우선인 시기”

  • 단기 급등보다는 하방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이 중요
  • 정책 변수에 따른 유동성 확보 및 빠른 회전력 확보 필요
  • 연준의 정책 및 무역 협상 진전에 따라 향후 전략 유연성 유지

 

 

#트럼프관세 #무역전쟁 #아시아관세폭탄 #EU관세효과 #아군오인사격 #데이터왜곡 #글로벌무역혼란 #관세정책분석 #무역수지역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