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정책 영향 예의주시... '중립' 입장에 발 묶인 연준 <CNBC>

by KWT 뉴스통신 2025. 2. 24.

📌 간단 메모: 연준(Fed)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 영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리 정책을 유지하며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CNBC>

 

 

트럼프 정책 영향 예의주시... '중립' 입장에 발 묶인 연준 <CNBC>

The Fed is stuck in neutral as it watches how Trump’s policies play out <CNBC>

 

미국의 금리 정책은 과연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 연준은 현재 금리 정책을 “중립” 상태로 유지하며, 경제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려 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및 경제 정책(관세, 이민, 규제 변화 등)이 인플레이션 및 경제 성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 중인 것이다.

 

<CNBC>는 연준의 목표는 2% 인플레이션 유지이지만, 현재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금리 인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핵심 포인트 3가지

1️⃣ 트럼프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 → 연준의 신중한 태도

관세(무역 정책), 이민 규제, 재정 정책 변화 등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불확실함.

• 애틀랜타 연준 총재 라파엘 보스틱은 “현재 정책 결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언급.

• 연준 내부 회의(FOMC) 회의록에서도 “정책 변경의 범위, 시기, 경제적 영향이 불확실하다”고 강조.

 

2️⃣ 인플레이션 우려 속 금리 인하 가능성 희박

• 연준의 목표는 2% 인플레이션 유지이나, 현재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음.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 알베르토 무살렘: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상태에서 금리를 쉽게 내릴 수 없다.”

• 현재 연방기금 금리는 4.25~4.5%로 “완만한 긴축” 상태 유지.

 

3️⃣ 금융 시장 및 채권 시장 불안정성

• 무역 정책 외에도 금융 시장의 레버리지 증가, 장기 부채 규모 확대가 주요 리스크로 작용.

• 경제학자 마크 잰디(Moody’s Analytics): “미국 채권 시장($46.2조 규모)이 매우 취약하며, 대규모 매도 가능성이 있다.”

• 시장에서는 2025년 말까지 금리 0.5%p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

 

 

🔍 정리하면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관세, 이민, 재정 정책)의 영향을 면밀히 분석 중.

현재 금리 정책을 유지하며,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음.

금융 및 채권 시장의 불안정성도 고려하여 금리 인하보다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만, 연준은 아직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

 

 

#연준 #금리정책 #트럼프경제정책 #관세 #인플레이션 #채권시장 #FOMC #미국경제

 

 

2024.12.22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투자자의 나침반... 꼭 한 가지 지표를 꼽으라면 OOO을 보라?!

 

2025년 투자자의 나침반... 꼭 한 가지 지표를 꼽으라면 OOO을 보라?!

어느덧 해가 바뀌는 시기입니다. 내년도 투자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지표 하나를 꼽으라면 뭐가 있을까요? 2025년 경제에서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중요한 지표로 부상하며, 이자율, 인플레

keywordtim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