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내 팀장 등 중간관리자급 이상의 리더들은 구성원들과 원활한 업무적/비업무적 관계를 다지고 조직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정기적/주기적으로 1대 1 미팅(one-on-one meeting)을 갖곤 한다. 한국식 조직문화에서는 팀장이나 팀원 양쪽 모두 이런 류의 1:1 미팅에 익숙하지 않아 어색한 분위기 속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는 미팅을 갖기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다. 다음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엠아이티 슬로언 경영대)에서 조언하는 일대일 팀원 미팅을 위한 가이드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3줄 요약:
- 효과적인 1:1 미팅을 위해 더 자주 만나고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직원과 관리자가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상호 작용이 활발한 회의를 만들어야 한다.
- 회의 후 명확한 후속 조치를 실행하여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팀장-팀원 간 효과적인 소통 및 피드백 제공을 위한 1:1 미팅 가이드 (MIT Sloan)
📌 팀원들과의 1대 1 미팅, 어떻게 할 것인가
1:1 미팅은 직원과 관리자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업무의 방향을 조율하는 중요한 시간이다. 하지만, 많은 직원들이 이러한 미팅을 부담스럽게 느끼거나,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연구에 따르면, 4명 중 1명은 정기적인 1:1 미팅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가지 팁을 적용할 수 있다.
1️⃣ 자주 만나기
주간 단위로 정기적인 미팅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예측 가능한 스케줄은 불안감을 줄이고, 대화를 더욱 의미 있게 만든다.
2️⃣ 목표 정렬
각자의 기대치를 명확히 하고, 미팅의 목적을 직원의 필요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관계 구축을 원하고, 어떤 사람은 프로젝트 문제 해결을 원할 수 있다.
3️⃣ 공동 아젠다 설정
회의 전 직원과 관리자가 함께 논의할 주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이 포함될 수 있다.
- 최근 잘된 점은 무엇인가?
- 어디에서 도움이 필요한가?
- 현재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 앞으로 주의해야 할 새로운 이슈는?
- 개인적인 상태는 어떤가?
4️⃣ 성과 중심의 대화
세부적인 업무 진행 상황을 하나하나 점검하는 대신, 목표와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해야 한다. 직원이 자율성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5️⃣ 후속 조치 실행
미팅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록하고, 다음 회의 전까지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신뢰를 쌓고, 직원이 미팅을 가치 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잘 구조화된 1:1 미팅은 직원과 관리자 모두에게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올바른 방식으로 진행하면 오히려 기대되는 시간이 될 것이다.
#1:1미팅 #효과적인팀소통 #직원성장지원 #관리자역할 #신뢰구축
2025.02.09 - [분류 전체보기] - [책 소개] 영감을 주는 리더의 요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