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AI와 전기차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미국 실리콘밸리를 따라잡거나 앞서가며 기술 패권 경쟁의 주도권을 차지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가 15일 보도.
중국은 어떻게 실리콘밸리(미국)을 따라잡았나 <FT> (사이먼 쿠퍼)
<Financial Times> 칼럼니스트 사이먼 쿠퍼(Simon Kuper)는 미국과 중국 간 기술 경쟁의 역전 가능성을 짚으며, 실리콘밸리가 중국의 기술 도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는 과거 미국은 기술 혁신의 선두주자였지만, 최근 들어 중국이 AI, 전기차, 하드웨어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기술 우위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기술 중심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의 새로운 국면을 의미하며, 실리콘밸리 내부에서도 중국 기술의 부상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 핵심 포인트 3가지
1️⃣ 중국의 기술력, 실리콘밸리와 동등하거나 우위에 도달
- 딥시크(DeepSeek) 등 중국 AI 기업이 미국과 동급 성능의 모델을 저비용·고효율로 출시
- 중국 전기차 충전 기술, 스마트폰 기술(화웨이) 등도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주요 미국 CEO들(에릭 슈미트, 젠슨 황 등)이 “중국이 기술에서 앞서가고 있다” 인정
2️⃣ 미국 내부 분열이 실리콘밸리의 위치를 위협함
- 트럼프 정부는 과학 연구 축소, 동맹국과의 협력 저하
- 실리콘밸리는 국가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인식 존재
- 엘론 머스크는 미국 노동 문화에 비판적이며, 테슬라의 해외 공장을 중국에 설립
3️⃣ 실리콘밸리의 미래 불확실성 확대
- 기술 패권이 미국 내부가 아닌 ‘차이나스피어’(the Chinasphere)*로 이동할 가능성 대두
*중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 벤치마크 캐피탈 등 미국 투자자들도 중국 기술기업에 적극 투자
- 장기적으로 실리콘밸리는 “규모 부족(sub-scale)“로 인해 쇠퇴할 수 있다는 우려
🔍 정리하면
중국은 더 이상 기술을 단순 모방하는 국가가 아니라, 실리콘밸리조차 인정할 만큼 경쟁력을 갖춘 기술 주도국으로 부상했다. 특히 AI, 전기차, 스마트폰 등 미래 산업의 핵심 분야에서 미국보다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제품을 내놓으며 주목받고 있다. 반면 미국은 정치적 분열과 과학에 대한 투자 부족으로 기술 리더십 유지에 위기를 겪고 있다. 실리콘밸리는 이제 중국 기술에 투자하거나 그 시스템을 배우려는 입장에 놓였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 기술 중심 체제가 중국 중심 체제로 대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사이먼 쿠퍼의 분석이다.
#중국기술 #AI패권 #실리콘밸리 #미중기술경쟁 #트럼프정책 #딥시크 #화웨이 #전기차충전기술 #벤치마크캐피탈 #테슬라중국공장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앞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추가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신중한 판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2025.05.07 - [분류 전체보기] - "지난 날의 글로벌 경제 질서는 죽었다" 마틴 울프
"지난 날의 글로벌 경제 질서는 죽었다" <FT> 마틴 울프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은 단순한 갈등이 아니라, 미국 주도의 구질서가 붕괴되고 세계 경제 질서 재편이 요구되는 전환점이 되고 있다고 (Financial Times; FT) 수석 논설위원 마틴 울프가 7일 칼럼
keywordtimes.tistory.com
*RSS 피드 구독: 아래 주소를 붙여 RSS Reader에 입력, 구독해 보세요.
http://keywordtimes.tistory.com/rss
*이 글에 언급된 정보는 참고 사항일 뿐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KWN뉴스통신ⓒ
*경고: 포스팅 내용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 도용하는 등의 행위 금지. 반드시 출처를 밝혀 SNS나 URL 링크 등으로 공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