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루벤스타인(칼라일 그룹 공동창립자)은 미국 경제가 견조한 편이며, 관세는 협상 수단으로 효과적이지만 전면적 도입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평가함.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경제 전망, AI 투자 지속 의지 등 밝힘.
"트럼프 관세, 협상용으로는 효과"... "AI 투자 지속할 것"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CNBC>
David Rubenstein: Tariffs have been pretty effective as a negotiating tactic
이 영상은 칼라일 그룹 공동 창립자 데이비드 루벤스타인이 미국 경제 상황, 인플레이션, 관세 정책, 인공지능 투자, M&A(인수합병) 현황 등에 대해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하는 인터뷰임. 특히, 관세가 협상에서 유용한 도구이지만 무분별한 확대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함.
1️⃣ 관세는 협상용 도구로는 효과적이나, 전면적인 시행은 부작용 초래
- 세계와 기업의 주의를 끄는 데 성공했으나, 소비자 물가 상승 및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있음
- 1930년대 대공황 당시 관세 정책 실패 사례 언급
2️⃣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에 대한 중립적 전망
- 트럼프·바이든 정부의 과도한 재정 지출이 경제를 과열시켰고 인플레이션 상승에 기여
- 현재 연 1.7~2% 수준의 성장 예상, 심각한 경기 침체는 없을 것으로 전망
3️⃣ AI가 향후 성장의 핵심이며 투자 지속이 중요
- 칼라일 포트폴리오 기업들도 AI에 투자 중
- 엔비디아가 AI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경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
🔍 정리하면
루벤스타인은 미국 경제가 안정적인 편이라고 평가하며, 관세는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전면 도입은 위험하다고 지적함. 인플레이션은 다소 진정되었고, 경기 침체 가능성은 낮다고 봄. 인공지능은 향후 성장의 핵심 분야이며, 이에 대한 투자가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함. 또한, M&A 시장은 점차 회복세로 전환 중이라고 진단함.
🚨주의: 이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로 인한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앞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추가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신중한 판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미국경제 #관세정책 #인플레이션 #AI투자 #엔비디아 #칼라일그룹 #M&A시장 #데이비드루벤스타인
2025.03.24 - [분류 전체보기] - "M7 주가, 4월 실적 전 반등 가능성" 모건스탠리 마이크 윌슨 <마켓워치>
"M7 주가, 4월 실적 전 반등 가능성" 모건스탠리 마이크 윌슨 <마켓워치>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은 ‘매그니피센트 7’(Mag 7) 종목들이 실적 시즌을 앞두고 반등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시장은 ‘거래 가능한 랠리(tradeable rally)’ 구간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함. (MarketW
keywordtimes.tistory.com
2025.03.22 - [분류 전체보기] - 대표적 비관론자조차 반등 예상... 미 증시 하락세 진정될까? <마켓워치>
대표적 비관론자조차 반등 예상... 미 증시 하락세 진정될까? <마켓워치>
미국 증시의 대표적 비관론자들조차 단기 반등 가능성을 인정하며, 과도한 투자심리 악화를 근거로 기술적 반등을 전망 중이라고 (MarketWatch)가 21일 보도. 대표적 비관론자조차 반등 예상... 미
keywordtimes.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