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버트 실러 교수2

실러 CAPE 주가수익 비율로 증시 거품 확인... 수치 데이터 확인하는 곳 실러 CAPE 비율은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지난 10년간 기업 평균 이익으로 주가를 나눈 비율이다. 이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지난 10년간 평균 이익을 계산하여 단기적인 변동성을 제거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증시의 밸류 에이션 흐름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증시에 너무 거품이 끼지는 않았는지 적정 주가보다 낮은지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기준점이 된다. 실러 CAPE 비율의 개념과 활용법, 실제 데이터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곳까지 정보를 총정리했다.   ‘실러 CAPE 비율’로 적정 주가, 증시 거품 여부 확인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 흔히 실러 CAPE 비율이라고도 하는 이 개념은 노벨경제학상(2013년)을 .. 2023. 4. 9.
연말 ‘산타 랠리’ 올까? 실러 ‘저가매수 신뢰도 지수’ 강세장 예상 미국 중간선거 이후 주가 반등에 대한 기대가 높다. 2022년 대부분을 관통한 대세하락장 속에서 주식 평가액이 크게 줄어든 데 고통스러워하던 투자자들은 연말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도 품을만하다. 주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지만 여기 반등을 고대하는 투자자들이 반길만한 지표가 하나 나왔다. 로버트 실러의 ‘저가매수 신뢰도 지수’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를 생각하면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Shiller PE Ratio)이라는 지표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장기 평균 주당순이익을 바탕으로 주가나 지수에 얼마나 거품이 꼈는지, 적정 주가 대비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됐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수 말이다. 그런데 실러 교수의 도구에는 CAPE 지수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중에게 비교적 .. 2022.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