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더2

스테이블코인의 금융 주류 진입... 미래 금융위기 촉발의 씨앗 될까? <FT> 스테이블코인이 최근 국내에서도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그런데 이는 한국만의 일은 아니다. (Financial Times)는 12일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집중 보도했는데 'The Big Read' 코너에서 지면 한 면을 통틀어 심층적으로 다룬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사용이 급증하면서 규제 및 다른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는 내용이다. 스테이블코인의 금융 주류 진입... 미래 금융위기 촉발의 씨앗 될까? 스테이블코인은 높은 인플레이션, 약한 통화, 불안정한 은행 시스템을 가진 국가에서 미국 달러에 대한 대안으로 인기를 얻으며 빠르게 주류 금융 시스템으로 편입되고 있으나, 익명성으로 인한 범죄 악용과 잠재적인 금융 위기 유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워싱턴 등에서 엄격한 규제.. 2025. 6. 16.
진정한 암호화폐 열풍 -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s: the real crypto craze) <이코노미스트> 📌 간단 메모: 스테이블코인(Stablecoins)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실물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각국 정부가 규제 강화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가 2월 23일 온라인판 기사에서 보도. 진정한 암호화폐 열풍 (Stablecoins: the real crypto craze) 스테이블코인은 변동성이 큰 기존 암호화폐와 달리, 미국 달러 등 안정적인 자산에 연동되어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거래, 송금, 가치 저장 수단으로 활용되며, 특히 터키, 에티오피아 등 신흥 시장에서 빠르게 확산 중이다. 테더(Tether)가 시장의 70%를 차지하며 압도적이지만,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금융 시장에 리스크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EU, 터키, 나이지리아 등에서는 강력한 규제를 도입 ..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