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침체19

2023년 경기침체 전망 오류... 2024년 예측 정확성은 얼마나? 2022년 말 많은 이코노미스트들과 시장 전문가들은 2023년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2023년 경기침체는 결국 오지 않았다. 경제학자들의 전망과 예측, 어디서 무엇이 잘못됐던 걸까? 엇나간 2023년 경기 전망... 2024년, 경기침체 오는 걸까? ​​2022년 말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이 2023년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것으로 전망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2022년 초부터 8%를 넘어서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상하는 통화긴축 기조를 이어갔다. 둘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경기 침체의 위험 요인으로 지.. 2024. 1. 28.
고금리에 장사 없다... 경기침체에 대비하라 계속되는 금리 인상과 고금리 상황의 지속에도 미국 경제는 아주 강건해 보인다. 글로벌 경제를 봐도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아시아든 유럽이든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겼어도 벌써 생겼어야 할 상황이지만, 여지껏 외환위기나 국가 부도 사태가 났다는 소식은 듣지 못했다. 왜 이렇게 멀쩡한 걸까? 그리고 언제까지 이렇게 아무 문제 없는 듯 지속 가능한 걸까? 금리인상 효과가 실물 경제에 반영되기까지는 일정한 지연효과가 있다. 거기다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에 들어서기 전까지 초저금리 기간이 아주 길었다는 점도 현재의 이상해보이리만치 강건한 경제의 배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고금리에 장사 없다'고 하듯, 가계, 기업, 정부 할 것 없이 언제까지고 금리의 무게를 버텨낼 수만은 없다. 고금리 시한폭탄이 터질 시간이 째깍.. 2023. 11. 11.
유로존 독일, 1분기 경기침체… 미국은 ‘불황같지 않은 불황’? 유로존에서 독일, 아일랜드가 경기침체에 빠졌다. 미국은 아직 경기침체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혹자는 ‘불황같지 않은 불황’, ‘경기침체 아닌 경기침체’라고 한다. 그러는 와중에 미국 증시는 작년 10월 바닥에서부터 S&P 500 기준 20% 넘게 상승하며 강세장 전환에 성공했다. 이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독일, 아일랜드, 1분기 경기침체… 미국은 ‘경기침체 아닌 경기침체’? 유로존은 독일과 아일랜드가 1분기 국내총생산(GDP)을 하향 조정한 후 올해 1분기 경기침체(recession)에 빠졌다. 유로존의 GDP는 올해 1분기와 2022년 4분기에 0.1% 감소했다. 반면, 미국은 탄탄한 노동시장에 소비 지출 호조까지 뒷받침하며 경기침체를 영영 피하고 있는 듯하다. 작년까지만 해도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2023. 6. 9.
올해는 ‘경기’가 핵심... 3월, 12월 증시 변곡점 예상, 투자 전략은? 투자자들에게 있어 2022년의 핵심 키워드가 ‘물가’였다면 올해는 ‘경기’가 그 자리를 대신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침체는 어느 수준으로 얼마나 오래 지속될까? 그렇다면 주식시장 등 우리의 투자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언제,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김한진 이코노미스트, 김영익 교수 등 몇몇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최근 시각을 종합,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이번 경기침체, 얕지만 길 것” 이번 경기침체, 불황은 어느 정도 깊이로 얼마나 오래 지속될까? 제러미 시겔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즉 1945년 이후 미국의 경기 침체는 한 번 오면 평균 11개월, 즉 대략 1년은 지속됐다고 한다. 반면 경기 호황은 평균 58.4개월 지속된다. 길이로 보면 거의 6대 1의 비율이다. 주식 등 .. 2023. 1. 10.